최근 연구에 따르면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장내에서 생성되는 화합물이 유전자 기능을 조절해 암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퍼드 의대 연구팀은 인간이 섬유질을 섭취할 때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며, 이 화합물이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단쇄 지방산은 비소화성 탄수화물이 발효되며 생성되는 물질로, 탄소 수가 6개 이하인 지방산이다.
단쇄 지방산과 유전자 발현 변화
연구는 특히 프로피오네이트와 부티레이트라는 두 가지 주요 단쇄 지방산이 세포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했다. 건강한 세포, 치료된 대장암세포, 그리고 치료되지 않은 결장암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연구팀은 후성유전학적 변화와 세포 사멸 과정을 확인했다. 이 과정은 암의 주요 원인인 억제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방해하거나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섬유질의 중요성
연구를 이끈 스탠포드 의대 유전학 교수 마이클 스나이더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섬유질 섭취가 유전자 기능 조절과 항암 효과에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단쇄 지방산은 장에서 생성된 후 신체 전체를 순환하며 항암 효과를 발휘한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섬유질 섭취가 부족한 식단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인 중 하루 섭취 권장량을 충족하는 사람은 10% 미만에 불과하다. 스나이더 교수는 “섬유질 부족으로 인해 마이크로바이옴의 활동이 저하되고 단쇄 지방산의 생산도 줄어든다”라고 경고했다.
섬유질 풍부한 식단의 필요성
콩, 견과류, 십자화과 채소, 아보카도와 같은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의 섭취는 건강 유지뿐만 아니라 암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섬유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식습관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신진대사(Nature Metabolism)*에 게재됐으며, 제목은 Short-chain fatty acid metabolites propionate and butyrate are unique epigenetic regulatory elements linking diet, metabolism and gene expression이다.